programing/Networks18 Half-close, DNS, 소켓 옵션 - closesocket() : 일방적인 완전 종료, 데이터 전송과 수신이 더이상 불가능. => 수신 도중 연결이 종료 되면 수신 데이터가 날아감 - 스트림 : 서로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 각 Host 간에 소켓이 연결되면, 각 Host에 입력 스트림과 출력 스트림이 생성 closesocket()은 둘 다 끊어버림 - Half-close #include int shutdown( SOCKET sock, // 종료할 소켓의 핸들 int howto // 종료 방법 ); // 성공 : 0, 실패 : SOCKET_ERROR > howto 인자 SD_RECEIVE : 입력 스트림 종료 (데이터 수신 불가) SD_SEND : 출력 스트림 종료 (데이터 송신 불가) SD_BOTH : 입출력 스트림 종료 - 출력 스트림을.. 2015. 5. 15. UDP 기반 서버 / 클라 - UDP는 TCP보다 간결한 구조 - ACK 응답 메시지 보내는 일 없으며 SEQ 처럼 패킷에 번호 붙이는 일도 없음 - TCP와의 차이는 흐름제어 - IP는 패킷이 호스트에서 호스트까지 전달 되도록 함 (Host to Host) - UDP는 패킷이 호스트내에 존재하는 UDP 소켓 중 하나에게 최종 전할 하는 역할 (Socket to Socket) - TCP가 UDP에 비해 느린 이유 1. 데이터 송수신 이전, 이후에 거치는 연결 설정 및 해제 과정 2.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거치는 신뢰성 보장을 위한 흐름 제어 - UD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 되어있지 않음 (listen()과 accept() 불필요) - UDP에서는 서버나 클라이언트나 소켓 하나만 있으면 됨 (TCP는 소켓과의 관계가 1:1,.. 2015. 5. 14. TCP 기반 서버 / 클라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 UDP( User Datagram Protocol ) - OSI7 계층 Physical -> Datalink -> Network -> Transport -> Session -> Presentation -> Application - TCP/IP 프로토콜 탄생 배경 인터넷을 통한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 -> 영역별로 작게 문제를 나눔 cf. 계층화 장점 : 표준화 작업을 통한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 + 각 층을 개발하며 다른 층을 고려할 필요 없음 - LINK 계층 : 물리적인 영역의 표준화 LAN, WAN, MAN과 같은 네트워크 표준과 관련 프로토콜 정의 - IP 계층 (Network) : 데이터 경로 검색 비 연결지.. 2015. 5. 13. 주소 체계와 데이터 정렬 - 인터넷 주소 >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 4바이트 주소체계 >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 16바이트 주소체계 - IPv4 = 네트워크ID + 호스트ID https://ko.wikipedia.org/wiki/IPv4 - 네트워크 주소 : 네트워크 구분을 위한 IP 주소 일부 데이터 전송은 먼저 IP주소중 네트워크 주소만 참조해서 해당 네트워크에 전송한 다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라우터를 거쳐 남은 호스트 주소를 참조하여 해당 IP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됨 cf. 라우터와 스위치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호스트에 전달하고 호스트가 전달하는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해주는 물리적 장치. 라우터보다 기능적으로 작은 것을 스위치라 함 - 첫.. 2015. 5. 12. 이전 1 2 3 4 5 다음